본문 바로가기
  • 기록하는 일상, 생각하는 일상
728x90

전체 글61

교과서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요즘 엔도 (dr.이승준) 2021. 10. 14.
교합의 이해 (pf. 조리라 4강) 임플란트 보철의 문제 1) 불완전 안착 : 내면적합 불량 생각하는거 보다 임플란트 보철의 내면적합불량이 많다. 임플란트 주위에서는 단단한 조직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자분이 허용한다면 supra로 마진을 두고 꼭 안착시킨 뒤에 x-ray를 찍어봐야한다. (내 감을 믿다간... sad) 3) 하악골의 휨 : 하악골이 휨으로써 임플란트 위치가 달라지게 되고 cement_washout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보통 임플은 3개까지는 묶지 않고 2개,1개로 나누거나 어쩔수없이 3개로 묶을때는 가운데 abutment를 두껍게 만들어서 cement space를 넓게 만들어준다 (왜지??..) 4) 교합과 인접접촉 : 즉시 (임플 보철물을 넣었더니 보철물이 닿지않고 인접치만 닿더라 이런경우 어떻게 조정해야.. 2021. 10. 14.
교합의 이해 (pf.조리라 3강) 1. 고정성 보철과 연관된 교합문제 (왜 이런 문제가 일어날까?) 1) 왜 보철물이 불완전하게 안착되는가? : 과도한 인접접촉 때문에 - 교합점은 각 치아에서 어디에 존재하는가 , 강도는? 1. 상악? : BL에선 협측, 상하에선 중앙 (협측 중앙) 2. 하악? : BL에서 중앙, 상하에선 위쪽 1/3 (중앙 위쪽) 3. 강도 : 하악>상악, 대소구치 > 전치 - 기공물에서 오목한 인접면은 반칙이다. 건전한 인접면이 아니기 때문에 금방 loose 해진다. : 왜 이런 오목한 면이 만들어지나? -> 왁스업을 하면서 인접면에 꾹 대서 만들기 때문 : 오목한 인접면이 있을 경우 flattening 시키고 난 후에 contact을 조정한다. 이래도 안되면 solder나 포세린 adding을 한다. 7) CO-M.. 2021. 10. 14.
Factfulness / 저자 : Hans rosling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꿔야한다. 우리는 왜곡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다. 이를 달리 이야기하면 인간의 왜곡된 시각을 일으키는 본능을 잘 이용하면 나 뿐만 아니라 상대방도 잘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1장 간극본능 흑백논리와 비슷한 것 같다. 저들과 우리, 동양과 서양, 개도국과 선진국 이런식으로 말이다. 하지만 세상은 변했다. 이 때문에 작가는 총 4단계로 국가를 나누고자 한다. 대다수의 국가는 평균이상의 소득을 가지기 시작했고 작가가 보여준 자료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당히 변해있었다. 작가는 크게 3가지를 조심하면 간극본능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 한다. 1. 평균을 조심해라. 평균은 분명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굉장히 중요한 도구중 하나이다. 하지만 평균은 분산에 가려져 제 역할을 하지 못할때가.. 2021. 9. 26.
교합의 이해 (pf. 조리라 1,2강) - 하악 전치부가 건드리기만 해도 너무 아픈 환자가 내원하였다. 아래 사진의 환자의 문제점은? : 전치부의 flaring이 일어나면 LoPS(loss of posterior support)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즉 LoPS를 해결하지 않으면 전치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없다. - LoPS의 sign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1. PDL widening 2. fremitus 3. fx restoration 4. drifting (flaring) 5. excessive wear - 중심교합 수정 방법은? : 너무 높지 않으면 cusp 삭제는 가급적 자게하고 fossa를 넓게 만들어라 그리고 cusp는 최대한 narrow하게 만들어라. 교두가 편평하면 교합점도 굵게되고 문제가 많아진다. 따라서 교두를 최대한 .. 2021. 9. 6.
Food impaction (4.proximal contacts and embrasures 5. food retention 6. management) 4. proximal contacts and embrasures - Optimal contact tightness : 적절한 인접면 접촉강도 및 측정법 1. 치실 통과 시 저항감 (환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인접치나 대합치를 보고 이 부분과 유사하게 하는게 좋다. 2. shimstock foil 제거 시 저항감 3. matrix band : 50um 두깨는 통과 하지만 두장 겹치면 통과 안됌 4. 시각적 확인 5. 전용기구 (실험적) : metal band 제거시 저항 측정 / 투광도 - proximal contact의 형태는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 occlusal gingival buccal lingual 모든 방면에서 embrasure가 존재해야하고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 수록 contact이 하방으.. 2021. 9.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