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록하는 일상, 생각하는 일상
2. 치과임상_세미나 정리/1) 외과

교합의 이해 (pf.조리라 3강)

by melonasana 2021. 10. 14.
728x90

1. 고정성 보철과 연관된 교합문제 (왜 이런 문제가 일어날까?)

 

1) 왜 보철물이 불완전하게 안착되는가? : 과도한 인접접촉 때문에

 

- 교합점은 각 치아에서 어디에 존재하는가 , 강도는?

1. 상악? : BL에선 협측, 상하에선 중앙 (협측 중앙)

2. 하악? : BL에서 중앙, 상하에선 위쪽 1/3 (중앙 위쪽)

3. 강도 : 하악>상악, 대소구치 > 전치

 

- 기공물에서 오목한 인접면은 반칙이다. 건전한 인접면이 아니기 때문에 금방 loose 해진다.

: 왜 이런 오목한 면이 만들어지나? -> 왁스업을 하면서 인접면에 꾹 대서 만들기 때문

: 오목한 인접면이 있을 경우 flattening 시키고 난 후에 contact을 조정한다. 이래도 안되면 solder나 포세린 adding을 한다. 

 7) CO-MI Slide

난 분명 충분히 삭제를 했는데 양치하고 다시보니 7번이 다시 닿더라. 왜그럴까?

: 원래 7번이 닿다가 교합접촉점이 없어지면서 과두가 돌아가게 된다. 그러면서 갑자기 프랩된 7번이 닿게 되더라. 따라서 이렇게 되더라도 놀라지말고 그냥 삭제 더 하면 된다. 

 

8) Cementationi error (분명 교합을 다 맞췄는데 붙이고 나니 마진이 뜨더라 왜그럴까?)

그냥 교합면 방향으로 누르면 cement가 다 나가지 않아서 뜨게 된다. 따라서 이를 Buccolingual로 왔다갔다 하면서 끼워야지 cement가 다 나가면서 완전히 sitting이 된다. 

 

9) 지르코니아 교합조정

기공소에서 폴리싱해서 오면 생각보다 교합점이 안찍힌다. 그래서 환자는 높다고 하는데 못찾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이경우 바세린을 바르고 교합지를 찍으면 잘 찍힌다. 

 

11) 교합불안정? (reverse of curve of willson)

원래 하악 buccal cusp가 높아야하는데 기능운동으로 인해 마모되면서 내려가게 되면서 문제가 많이 일어난다. 이 경우 환자는 보이는 부분이 중요하기 때문에 하악만 크라운을 하고자 하는데 그러면 해결되지 않는다. 상악도 같이 크라운을 해서 회복시켜주어야 한다.

 

12) 하악전치의 교합

따라서 하악전치의 길이 삭제와 순면 삭제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순면 삭제의 기준은 무엇인가?

위 그림처럼 아치를 그렸을때 그 선보다 나오면 대부분 순면삭제가 부족한것이다. 

728x90

댓글